네모기자입니다.
AI는 발명자 될 수 없다는 특허청의 판단이 나왔습니다.
금일 특허청은 ‘자연인이 아닌 인공지능(AI)을 발명자로 한 특허출원은 허용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인공지능(AI)이 발명했다고 주장하는 특허출원에 대해 무효처분을 했다고 밝혔습니다.
출원무효 처분이 되면 해당 출원은 처음부터 없는 것이 됩니다.
미국의 인공지능 개발자 스티븐 테일러가 ‘다부스(DABUS)’라는 이름의 인공지능을 발명자로 표시한 국제특허출원입니다.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16개국에 출원했습니다.
출원인은 이 발명과 관련된 지식이 없고, 자신이 개발한 ‘다부스’가 일반적인 지식을 학습 후에 식품용기 등 2개의 서로 다른 발명을 스스로 창작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특허청은 지난 2월 해당 특허출원에 대해 ‘인공지능(AI)을 발명자로 한 것을 자연인으로 수정하라’는 보정요구서를 통지하였으나 출원인이 이에 응하지 않아 최종 출원무효 처분했습니다.
우리나라 특허법 및 관련 판례는 자연인만을 발명자로 인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원칙은 미국, 영국, 독일 등을 포함한 모든 나라 특허법에서 규정하고 있습니다. 국제적으로는 주요 특허청들이 동일한 결론을 낸 바 있고, 미국·영국의 법원들도 이 결론을 지지했습니다.
다만, 작년 7월 호주 연방 1심 법원에서 인공지능을 발명자로 인정한 바 있으나, 올해 4월 연방 2심 법원에서는 만장일치로 1심 법원의 판단이 잘못됐다고 하였습니다.
올해 3월 독일 연방특허법원에서는 자연인만 발명자로 인정하되 그 성명을 기재할 때 인공지능에 대한 정보를 병기하는 것도 허용된다는 판결이 있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이인실 특허청장은 “현재 인공지능 발전 속도를 볼 때 언젠가는 인공지능을 발명자로 인정해야 할 때가 올 수도 있다”라고 전제한 후 “이에 대비하여 우리 특허청은 인공지능 발명을 둘러싼 쟁점들에 대해 학계·산업계 및 외국 특허청과 지속해서 논의하고 있다”라고 전했습니다. 이어“향후에도 우리 특허청은 인공지능 발명에 대한 논의를 주도하여,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지식재산제도를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덧붙였습니다.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적정 근속 기간은 5년이었다 (0) | 2023.03.17 |
---|---|
인사담당자 89.6% “한글 맞춤법 잘못된 이력서 있어…띄어쓰기, 오탈자 등” (1) | 2022.10.11 |
한국산업인력공단, 광주 글로벌 잡페어 개최 (0) | 2022.09.26 |
신입 구직자 희망연봉 평균 ‘3천 300만 원’으로 조사돼 (0) | 2022.09.22 |
인터넷 세법상담, 이제는 24시간 언제나 가능해졌다 (0) | 2022.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