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야기

2022년 청년층 경제활동인구조사, 취업률과 대학 휴학 등

네모의창 2022. 7. 19. 17:18
728x90

네모 기자입니다.

대한민국 청년층 인구는 859만 5천 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0만 4천 명(-2.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청년층 경제활동참가율은 51.5%로 전년동월대비 2.5%p 상승했고, 청년층 취업자는 410만 4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9만 6천명 증가했습니다. 

고용률은 47.8%로 3.4%p 상승했네요.

반면 청년층 실업자는 32만 명으로 전년동월대비 8만 2천 명 감소하여 실업률은 7.2%로 2.1%p 하락했습니다.

대졸자(3년제 이하 포함)의 평균 졸업 소요기간은 4년 3.7개월로 전년동월대비 0.3개월 증가하였고, 휴학경험 비율은 46.6%로 1.5%p 하락했습니다. 

4년제 대졸자 평균 졸업 소요기간은 5년 1.7개월로 전년동월대비 0.1개월 증가했습니다.

평균 휴학기간은 1년 11.9개월로 전년동월대비 0.4개월 증가했네요.

재(휴)학 기간 중 직장 체험자 비율은 44.3%로 전년동월대비 0.3%p 하락하였으며, 여자(47.3%)의 직장 체험 비율이 남자(41.3%)보다 높았습니다.

주된 체험 형태는 시간제 취업(73.0%), 전일제 취업(11.5%), 학교의 현장실습(9.0%)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졸업(중퇴) 후 취업 경험자 비율은 87.8%로 전년동월대비 1.6%p 상승했고, 취업경험 횟수는 한 번이 41.3%로 전년동월대비 1.4%p 높아졌습니다.

취업 유경험자의 최근 일자리와 전공 관련성이 매우 일치가 24.9%로 전년동월대비 0.3%p 하락했습니다.

현재 미취업자의 주된 활동 중 직업교육, 취업시험준비 41.2%, 그냥 시간보냄 25.7%로, 전년동월대비 각각 0.6%p, 0.8%p 상승했습니다.

첫 일자리가 임금근로자인 경우 첫 취업 평균 소요기간은 10.8개월로 전년동월대비 0.7개월 증가했네요.

첫 일자리 평균 근속기간은 1년 6.8개월로 전년동월대비 0.6개월 증가했고, 첫 일자리의 산업은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42.2%), 직업은 서비스·판매종사자(32.4%)에서 높았습니다.

첫 일자리에 취업할 당시 임금(수입)은 150만 원 ~ 200만 원 미만(36.6%), 200만 원~300만 원 미만(28.4%), 100만 원~150만 원 미만(16.1%) 순이었습니다.

첫 일자리를 그만둔 사유로는 보수, 근로시간 등 근로여건 불만족이 45.1%로 가장 높았습니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시험 준비자 비율은 16.9%로 전년동월대비 2.2%p 하락했고, 취업시험 준비분야는 일반직공무원(29.9%), 일반기업체(23.8%) 순으로 높았습니다.

728x90